현재 우리나라 청년실업률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최고수준에 이릅니다. 이에 정부는 청년실업률 대책 중 하나인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여러 대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그러나 청년들은 녹록지 않은 현실에 쉽사리 창업에 뛰어들지 못합니다. 위험 부담을 안느니 일반 기업에 취업해 돈을 버는 게 안정적이란 생각 때문입니다.

이 같은 현실은 통계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습니다. 2007년 청년 자영업자는 22만명으로 전체 자영업자 중 3.6%를 차지했습니다. 2015년 청년 자영업자는 16만3000명입니다. 비중은 2.9%로 역대 최저치입니다.

종잣돈을 마련해 본격적인 창업에 나서는 30대도 같은 기간 35만9000명이나 줄었습니다. 2007년 111만2000명(18.1%)에서 2015년에는 75만3000명(13.4%)을 기록했습니다. 이 비중 역시 역대 가장 낮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청년층과 30대 인구 자체가 줄어든 탓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연령대에서는 인구 감소 폭보다 자영업자 감소 폭이 훨씬 큽니다.

안정적인 정년을 보장하는 공무원이 되고 싶어하는 취업 준비생이 22만 명에 이른다는 점도 청년 창업이 위축되는 이유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창업 지원책뿐만 아니라 실패했을 때를 대비해 청년들의 재기를 돕는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해 보입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