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배달비 1400원 추가 부담 가능"…한국상품학회 정책포럼
이성희 호서대 교수 1027명 대상 조사 결과 발표 응답자 86% "배달수수료 상한제 도입 시 주문 줄일 것"
배달수수료 상한제가 시행될 경우 소비자들은 평균 1400원 정도 추가로 배달비를 부담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상품학회가 주최하고 네모미래연구소가 주관한 '공정한 유통생태계를 위한 플랫폼 정책 방향' 포럼에서 이성희 호서대 교수는 배달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상품학회와 메트릭스가 수행한 이번 조사는 지난달 8일부터 12일까지 최근 1개월 내 배달앱으로 음식배달을 이용해본 적 있는 이용자 1027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에 따르면 소비자들 중 86%가 배달수수료 상한제 도입 시 배달 주문을 줄이겠다고 응답했다.
또한 개인점포와 프랜차이즈 중 개인점포 주문을 줄이겠다는 대답이 42%에 달해 자영업·소상공인에 대한 타격이 예상됐다.
배달앱 이용 배달 횟수도 규제 도입 시 한달 평균 2.11회로 기존 5.35회 대비 60% 감소할 것으로 집계됐다.
아예 배달 음식을 시켜먹지 않겠다는 반응도 높게 나왔다.
소비자 중 52%는 규제 도입 시 음식점 배달이 아닌, 집에서 만들어먹거나 간편식 등 다른 소비로 전환하겠다고 답했다.
배달앱 플랫폼의 무료 배달 정기 구독서비스를 이용하는 연령층은 평균 39.3세였다.
현재 배달의민족은 '배민클럽'을 통해 구독료 3990원(프로모션가 1990원)에 무료 배달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쿠팡이츠는 구독료 7890원의 '로켓와우 멤버십'을, 요기요는 구독료 2900원(제휴 시 무료) '요기요패스X'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한편 이날 정책포럼에서는 공공앱 등을 활용한 배달 서비스 개선 의견 등도 나왔다.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공공앱을 통한 규제 실험을 시도해볼 만하다"며 "세종시 등 젊은 층 거주 비율이 높은 도시에서 먼저 적용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정희 벤처기업협회 혁신정책본부 본부장은 "손쉬운 규제가 산업을 망칠 수 있다"며 "공공앱인 '땡겨요'의 배달 수수료도 20% 정도로 국내 배달수수료는 전세계 최저 수준인데, 이같은 상황에서 15% 상한제 설정된다면 국내 2~3위 배달 플랫폼이 적자를 보는 구조가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본부장은 "다면적인 시장에서 수수료 상한제 도입으로 한 집단이 이익을 볼 수 있겠지만 다른 집단들은 손해를 보게 된다"며 "더 나아가 배달 시장 전체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유석 동국대 교수는 "배달 플랫폼 입장에서는 현실적인 수익 구조상 수수료 상한제 도입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다른 대안을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완 건국대 교수는 "음식 가격 안에 배달료까지 포함되는 올인클루시브 방식으로 바뀐다면 소비자의 심리적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이중가격제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