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추석·중국 무비자 효과로 4분기 반등 기대 [하나증권]
하나증권은 22일 대한항공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 3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효과가 4분기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추가 경쟁자가 진입이 어려운 노선을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가 관건인데 대한항공은 미주·유럽뿐 아니라 중국 노선에서도 독보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며 "한-중 간의 무비자 시행으로 이러한 노선 경쟁력이 부각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나증권이 전망한 3분기 대한항공의 별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4조2190억원, 영업이익은 28% 줄어든 4450억원으로 부진이 예상된다.
안 연구원은 "추석 연휴 효과가 4분기로 넘어가고 일본·동남아 수요가 약세로 돌아섰다"며 "지난해 높은 운임 기저 영향으로 국제선 운임이 평균 7%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화물 부문도 미국의 소액면세제도 폐지로 씨커머스(해외 직구) 물동량이 줄면서 매출액이 4%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연료비는 7% 줄었지만 인건비, 감가상각비, 공항 관련 비용 증가로 전체 영업비용은 4%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연결 기준 실적 역시 자회사 변동성에 따라 부진이 전망된다. 아시아나항공의 화물기 사업부 분리 매각과 일본·동남아 수요 약세로 LCC들도 성수기 효과를 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3분기 연결 매출액은 6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4030억원(영업이익률 6.4%)으로 예상되며, 2025년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는 1조6200억원으로 하향 조정됐다.
다만 4분기는 추석 효과와 함께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효과가 기대된다. 안 연구원은 "한-중 간의 무비자 효과가 지속되는 한, 코로나19 이전 수준 이상의 중국 노선 매출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라고 말했다.
이에 4분기 국제선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할 전망이다. 다만 화물부문의 경우 미국의 소액면세 제도가 폐지되면서 전년 대비로는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4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은 6% 늘어난 4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4% 줄어든 4190억원으로 전망했다.
양성모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