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새로운 전환점 열 것"
9일 착수식 개최…연내 오픈소스 SOTA급 성능 개발 목표
SK텔레콤(SKT)은 지난 9일 서울 명동 르메르디앙 서울 호텔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유영상 SKT 최고경영자(CEO)는 정예팀 대표 발언을 통해 "국가대표 AI 기업이라는 사명감으로 국민 일상 속 AI를 위한 최고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겠다"며 "SOTA급 AI 모델 달성은 기술 자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목표로 1차 단계평가부터 오픈소스 SOTA급(현재 가장 혁신적이고 발전된 수준)에 근접한 모델을 올해 안에 구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올해 말로 잠정 예정된 1차 단계평가는 △국민·전문가 평가 △벤치마크 등 기반 검증평가(AI 안전성 연계) △파생 AI 모델 수 평가 등을 포함한 입체적 단계평가가 이뤄진다. SKT 정예팀은 단계평가가 계속될수록 단순 벤치마크 성능뿐만 아니라 실사용자 관점의 체감 성능이 중요해지는 동시에 AI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접근성 향상, 실질적 활용성이 주요해질 것으로 보고 입체적으로 준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지난 2019년부터 한국형 AI 모델을 자체 개발한 경험과 1000만 고객이 활용하는 AI 에이전트 '에이닷'을 상용화하며 수렴한 고객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사용자 편의·사용성이 뛰어난 모델을 만든다는 목표다. 정예팀 참여사인 크래프톤·포티투닷·리벨리온·라이너·셀렉트스타와 함께 AI 모델 설계부터 반도체,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최적화, 멀티모달까지 AI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풀스택 역량을 통합적으로 발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울대학교 연구실(김건희·윤성로·황승원·도재영 교수)과 KAIST 연구진(이기민 교수), 위스콘신 메디슨 대학교 연구진(이강욱·Dimitris Papailiopoulos 교수) 등 국내외 석학이 원천기술 연구를 수행한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한 모델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AI 생태계 전체의 혁신적 도약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