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ABS와 美 선박 사이버보안 표준 공동 연구

美 상선·해양 시장 진출 가속화…'규제 맞춤형' 대응 공조

2025-09-10     김근정 기자
지난 9일(현지시간) '가스텍 2025'에서 협약 체결 후(왼쪽부터) 이정선 한화오션 기본설계담당 상무, 조슈아 디빈 ABS 글로벌 해양사업개발 부사장, 이용욱 한화시스템 부사장, 김형석 한화파워시스템 선박솔루션사업부 전무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한화

한화시스템·한화오션·한화파워시스템 등 한화 3사는 지난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가스텍 2025' 현장에서 미국 선급협회(ABS)와 미국 사이버보안 규정과 미국 기국 선박(미국이 관할권을 갖는 선박) 요건 대응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한화는 미국 상선·해양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해양 사이버보안 표준 주도 입지를 강화하게 됐다. ABS의 참여로 연구 성과의 신뢰성과 국제 확산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양 사는 향후 공동연구를 통해 △미국 사이버 규제 분석 △선종별 통합 보안 체계 구축 △선박 맞춤형 보안 솔루션 개발 △국제표준(IACS UR E26) 기반 기술 확장 △실시간 위협 대응·복원력 기술 고도화 등을 주요 과제로 다룰 예정이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사이버보안은 이제 항해·추진력만큼 중요한 안전 요소"라며 "ABS와의 협력을 통해 선사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제공하고 차세대 스마트십 시대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은 이번 가스텍 2025에서 세계 최초로 실제 선박을 대상으로 한 ABS의 '국제선급협회(IACS) UR E26 사이버 복원력 기본인증(AiP)'을 획득했다. 이는 선박이 해킹·디도스(DDoS)·랜섬웨어 등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직면했을 때 운항을 중단하지 않고 신속히 대응·복구할 수 있는 '통합 사이버 복원' 기술력을 검증받았다는 의미다. 

이는 지난 1월 한화시스템이 자사 사이버보안 솔루션 '시큐에이더'로 ABS의 선박 기자재 사이버보안 형식승인(IACS UR E27 TA)을 취득한 데 이어 불과 8개월 만에 거둔 성과다. 이로써 한화 시스템·한화오션·한화파워시스템은 글로벌 시장에서 건조 단계부터 선박 전체의 통합 사이버 복원력 체계를 보유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 받았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