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2개 분기 연속 흑자 달성…연체율 1.47%p 하락

올해 2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2570억원

2025-08-29     류지현 기자
2025년 2분기 저축은행 경영현황 / 사진=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2분기 저축은행 업권 결산 결과 누적 당기순이익 2570억원을 기록해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총자산은 전 분기 대비 2000억원 증가한 118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여신은 적극적인 매·상각 및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기업대출 취급 감소로 전 분기 대비 1조6000억원 감소한 94조9000억원을 나타냈다. 기업대출은 1조5000억원 감소한 46조7000억원, 가계대출은 7000억원 증가한 41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수신은 예금자보호 한도 상향과 하반기 수신 만기 집중 사전 준비 등의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1000억원 감소한 99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부실채권 정리 및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에 따른 대손충당금 전입액 감소가 전 분기 대비 순이익 규모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전 분기 9000억원에서 2분기 7000억원으로 감소했다.

이자비용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신 축소 및 신규취급대출 평균금리 하락 등으로 이자이익 개선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일반자금대출 신규취급 가중평균 금리는 지난해 12월 10.9%에서 올해 6월 10.1%로 하락했다.

BIS 자기자본비율은 전 분기 15.28% 대비 0.32%포인트 상승한 15.60%를 기록해 역대 최고 수준의 자본적정성을 유지했다. 이는 증자 등 자기자본 증가의 영향으로 법정기준 대비 2배 수준이다.

연체율은 전분기 9.00% 대비 1.47%포인트 하락한 7.53%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동펀드 매각 등 적극적인 매·상각이 주요 요인으로, 매·상각 규모는 전 분기 1조3000억원에서 2분기 2조5000억원으로 증가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분기 10.59% 대비 1.10%포인트 하락한 9.49%를 나타냈다. 유동성비율은 189.26%로 법정기준 100% 대비 89.26%포인트 초과했다. 대손충당금비율은 111.95%로 법정기준 100% 대비 11.95%포인트 초과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와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 등 리스크관리 강화 노력으로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부동산시장 경기회복 지연, 가계부채 관리 강화 등 비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지속되고 있어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시기는 다소 지연될 것으로 예상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자산건전성 지표 관리 강화를 위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동펀드 매각 및 개인·개인사업자 공동매각을 지속 추진하고, 하반기 가동되는 '에스비엔피엘대부'(이하 SB NPL) 자회사를 통해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할 예정이다.

사진=저축은행중앙회

류지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