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 3년간 차량 운행중 침수사고 4232건 발생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최근 3년간 차량 운행중 침수사고 4232건이 발생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삼성화재에 접수된 차량 운행중 침수사고는 총 4232건으로, 피해액은 325억원에 달했다. 사고 1건당 평균 피해액은 768만원이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2년 한해에만 2924건의 침수사고가 발생해 2023~24년 평균 654건보다 약 4.5배 많았다. 이는 장마철 폭우와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전체 침수사고의 72.5%가 집중됐다. 경기도가 40.1%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28.4%로 뒤를 이었다. 서울시 내에서는 서초구 31.2%, 강남구 30.3% 순으로 침수사고가 발생했으며 경기도는 성남시 12.2%, 화성시 8.8% 순이었다.
시간대별 분석 결과 야간(18~6시) 운행 중 발생한 침수사고가 61.2%로 주간보다 높았다. 특히 21~24시에 전체 침수사고의 31.6%가 집중 발생했다. 야간 침수사고의 건당 평균 피해액은 862만원으로 주간 대비 1.4배 수준이었다.
차종별로는 승용 세단이 전체 침수사고의 72.5%를 차지했다. 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승용 세단의 엔진 흡입구 높이는 평균 69㎝로, SUV 평균 97㎝보다 28㎝ 낮아 침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산차의 침수사고 점유율은 44.7%로, 국내 외산차 등록대수 15.2%와 대조됐다. 외산차 세단의 엔진 흡입구 높이는 평균 65.8㎝로 국산차 72.6㎝보다 7㎝ 낮았다. 외산차의 사고 1건당 평균 피해액은 1187만원으로 국산차 429만원보다 2.8배 높았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전제호 수석연구원은 "차량 운행중 침수구간이 발생한 경우 운전자는 무리하게 통과하지 말아야 하며, 부득이하게 침수도로를 주행할 경우 저속으로 한번에 통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 수석연구원은 또 "차량이 침수된 경우는 시동을 켜지 말고 바로 견인해 정비받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라며 "SUV 차량 운전자도 세단형 차량 대비 상대적으로 엔진 흡입구가 높다고 해서 무리하게 침수구간을 통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