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도약을 위해선①]치솟는 공사비·수주는 5년새 최저 '이중고'…대책 '시급' 

올 1~4월 수주액 53.2조…공공공사 수주액 전년比 25% 줄어 공사비 급등에 따른 건설사들 입찰 참여 유보로 유찰 사례 늘어

2025-07-10     박성대 기자
건설 현장을 표현한 이미지. /사진=챗GPT이미지

최근 건설업계는 과거에 비해 암울한 상황이다. 실적 부진은 물론 폐업하는 건설사도 적지 않아 긴장감이 고조된다. 하지만 대형건설사들이 신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해외건설에서도 희망이 보이며 반등 가능성이 엿보인다. 건설업계의 어려운 현실을 분석하고, 대응 및 성장 동력을 3회에 걸쳐 짚어본다.[편집자 주]

국내 건설사들의 올해 1~4월 수주액이 5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이는 공공공사가 큰 폭으로 감소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탄핵정국 여파 등으로 굵직한 관급 공사 발주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으로 분석된다. 공사비 급등에 따른 건설사들의 입찰 참여 유보로 유찰 사례도 늘어나고 있어 공사비 현실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건설사들의 공사 수주액은 53조2600억원으로 전년 동기(57조9422억원)대비 8% 감소했다. 이는 1~4월 기준 2020년(45조9594억원) 이후 5년만에 가장 적은 규모다.

특히 공공공사 수주액이 지난해 17조623억원에서 올해 12조7543억원으로 약 2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민간공사 수주액이 약 1% 하락하는 데 그친 것을 고려하면 감소 폭이 두드러진다.

업계에선 공공공사 발주가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다 낮은 공사비에 유찰이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국가철도공단이 올해 상반기 공고 예정이었던 △평택지제 차량기지 건설공사(5800억원) △남부내륙철도 건설공사(3214억원)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노반공사(3813억원) 등은 사업 조정 등에 따라 아직 발주가 이뤄지지 않았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3월 공고 예정이었던 울산다운2 A-3블록 아파트 건설공사(3549억원)도 내부 검토 등에 따라 아직 발주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5월 중 발주를 계획했던 고양창릉 S-2블록(2853억원) 및 부천대장 A1블록 아파트 건설공사(2664억원)의 경우 계획보다 한 달 늦은 지난 6월 공고가 이뤄졌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초 탄핵정국 여파로 의사결정 속도가 느려지면서 단 한 건의 공공공사 발주가 이뤄지지 않은 날도 있었다"며 "대형 건설사 입장에서는 몇 개월 수주 시기가 지연되는 것이지만, 영세 건설사는 수주 감소에 따른 경영난이 갈수록 심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발주가 이뤄지더라도 건설사들의 외면도 이어지고 있다. 공공공사는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더라도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지만 자잿값이 상승하면서 공사를 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가 됐기 때문이다.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공공기관이 발주한 공사(기술형 입찰) 13건 중 총 5건이 유찰됐다. 유찰된 공사 금액은 총 1조4000억원에 달할 정도다.

화성시가 올해 4월 최초 공고를 낸 '동탄 도시철도(동탄트램) 건설사업' 1단계 공사는 응찰자가 없어 유찰됐다. 발주 금액은 6114억원이다. 울산광역시가 같은 달 공고한 '울산도시철도 1호선 건설공사'(2716억원)도 두 차례 유찰돼 수의계약을 추진 중이다. 

이미 건설기성이 역대 최저수준으로 하락한 상태에서 새 일감마저 줄어들면서 올 하반기에도 건설경기 회복이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건설기성은 현재 진행 중인 공사 실적을 보여주는 지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건설기성은 26조8659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1.2% 감소했다. 건설기성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줄어든 것은 외환위기였던 1998년 3분기 이후 처음이다.

건설경기 침체에 경영난이 가중되면서 올해 들어 지난 6월까지 폐업을 신고한 종합 건설업체는 314개로 전년 동기(287개)보다 10% 가까이 증가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올해 예상 연간 건설수주는 약 222조원으로, 물가 상승 효과를 제거하면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민간 투자 활성화와 함께 공공 발주 정상화, 공사비 현실화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성대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