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플레이션②]에너지·관세 정책으로 자국 물가 보호하는 美

밴스 美부통령 "연료값 상승으로 식품가격 올라" '자국 농식품 보호'…해외 수입 농산물에 관세 부과 방침 "에너지 물가 안정에도 식료품 가격 하락엔 시일 걸릴 것"

2025-07-09     김현정 기자
사진=픽사베이

전세계적으로 '푸드플레이션'(푸드+인플레이션)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푸드플레이션은 식재료 물가가 전체 물가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현상을 일컫는 말로, 최근 수년새 러-우 전쟁과 기상이변 등으로 각종 식재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발생했다. 이에 푸드플레이션 현상에 대처하는 각국의 노력을 소개하고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미국에서는 '푸드플레이션' 현상을 에너지와 관세 문제로 접근하고 있다. 치솟는 에너지 가격을 안정세로 되돌려 놓으며 식품값을 잠재우고 해외 수입 농식품에 대한 관세를 매겨 자국 농식품을 보호하는 식이다.

9일 CNBC·비즈니스인사이더 등 외신에 따르면, 현 미국 부통령 J.D. 밴스는 올해 초 식품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날로 치솟는 에너지 가격을 지목했다.

밴스 부통령은 "베이컨을 식료품점에 배송하는 트럭조차 디젤유로 움직인다"며 "연료 값이 오르면 식품 값도 오르는 것은 당연하므로 (현 상황에서) 식료품 가격 하락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에너지 긴급 명령을 내려 휘발유·디젤 유가를 낮추고 이를 통해 운송비 절감과 식품 가격 안정을 유도할 방침을 추진했다. 미국 정부의 노력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5월 미국 에너지 물가는 휘발유 가격 감소의 영향으로 연간 –3.5% 하락한 가운데, 식품 가격만 연간 2.9% 상승했다.

유가와 EU·캐나다·영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동향/사진=연준 홈페이지 자료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가격 안정은 물론, 해외 수입 농산물에 관세를 매김으로써 자국 농민과 농산물을 보호하는 정책도 펼치고 있다.

최근 미국은 유럽연합(EU)의 농식품 수출품에 17% 관세율을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 4월 9일 세계 대부분 국가의 수입품에 대해 기본 10% 관세를 무는 방안을 도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중 EU 수입품에 대해 추가적인 거울 관세 10%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현재 잠정 유예한 상태다.

다만 8월 1일까지 미국과 EU가 무역협정에 합의하지 못하면 EU에 대한 보복관세가 50%까지 인상될 수 있다.

캐나다·멕시코의 경우, 25% 관세가 일괄 적용되고 있고, 특히 중국에 대한 관세율은 최대 145%에 달한다. 캐나다나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동일하거나 비슷한 수준의 보복관세로 대응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8월 1일부터 식품을 포함한 거의 모든 품목에 대해 미국은 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최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 라면·과자·음료 등 K-푸드 제품들도 관세 대상에 포함되므로, 향후 미국 내 소비자 가격 인상과 국내 식품 수출업체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

백악관은 "자국 농민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이같은 일련의 관세 부과가 소비자 식료품 가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은 "에너지가 안정된다고 해도 노동·식자재·업체 마진 등 식품 공급망 내 비용 상승이 누적된 상태라 식품 물가가 바로 잡히기는 어렵다"며 "노동비와 임대료, 운송비, 농산물 가격,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 기상이변 등 다양한 요인이 식품 가격 상승을 지속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진단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