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똑똑해졌다"…KT, 지니 TV에 AI 에이전트 탑재

시사 정보부터 미디어 콘텐츠까지 제공

2025-07-08     김근정 기자
KT 모델이 '똑똑한 AI 에이전트' 지니 TV AI 에이전트의 자연스러운 대화 응답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사진=KT

KT는 다양한 질문에 자연스러운 대화로 응답이 가능한 지니 TV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자사 인터넷TV(IPTV) 서비스 '지니TV'에 탑재했다고 8일 밝혔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거대언어모델(LLM)과 연동돼 단순 음성 명령 인식을 넘어 '대화가 잘 통하는 AI'를 구현함으로써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로의 본격적인 확장 기반을 마련했다.

KT는 지니 TV AI 에이전트 도입으로 '기가지니' 기능을 고도화해 고객의 미디어 라이프를 크게 향상시켰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날씨·뉴스 등 최신 생활 정보는 물론 시사상식·교양·과학·인물 등 복잡한 주제에 관한 질문도 가능하다.

콘텐츠 탐색 환경이 크게 개선돼 줄거리나 간단한 설명만으로도 맥락을 이해해 정보를 제공한다. 지니 TV의 자체 콘텐츠뿐만 아니라 유튜브, 디즈니플러스, 티빙, 쿠팡플레이 등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콘텐츠 정보 탐색도 가능하다.

KT는 지니 TV AI 에이전트가 기가지니를 통해 축적해 온 AI·빅데이터 기술력에 LLM 최적화 역량을 더해 자연스러운 언어 이해·응답을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단방향이나 일회성 음성 명령을 넘어 '멀티 턴 대화 구조'를 갖췄고 음성 인식률도 95% 이상으로 크게 개선됐다. 실시간 검색 기능을 연동해 최신 정보 탐색 기능도 강화했다.

다양한 LLM 연동이 가능한 구조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의도 분류 엔진'을 적용했다. 의도 분류 엔진은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여러 LLM 중 가장 적합한 모델을 자동 호출한다. 현재 적용된 LLM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도입한 애저 오픈AI 서비스 기반으로 제공되며 향후 다양한 LLM과도 확장 연동이 가능하다.

지니 TV AI 에이전트는 현재 '지니 TV 셋톱박스 4'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오는 11월에 '지니 TV 올인원 사운드바'로 확대 적용된다. 2026년에는 약 500만대의 AI 스피커 기반 셋톱박스 전 단말에 순차 적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연내 이미지·오디오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통합 인식하는 '멀티모달 모델'도 도입할 계획이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