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집 담보로 빌렸는데"…인뱅 대출상환 리스크 커졌다
대출채권 담보 신용위험액 증가세 "보험사 지급준비금에도 영향"
집을 담보로 사업자금을 빌린 개인사업자 차주들의 상환 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지난해 3분기 말 대출채권의 담보 관련 신용위험액은 전분기 말 5조3122억원에서 8조2752억원으로 증가했다.
대출채권의 담보는 대출자가 돈을 빌릴 때 채무 불이행 시를 대비해 채권자가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도록 제공받는 자산이나 권리를 뜻한다. 대출자의 신용 위험을 줄이고 상환 의무를 보증하기 위한 장치다.
담보 유형은 주택‧상가‧토지 등 부동산 담보와 차량‧기계‧상품 등 동산 담보, 예금‧주식‧채권 등 금융자산 담보 등으로 나뉜다.
케이뱅크의 3분기 대출채권 담보 관련 신용위험액의 세부내역을 보면, 예적금이 95억2300만원에서 128억6700만원으로 증가하고 주거용 부동산이 3조4503억원에서 5조6441억원으로 느는 등 거의 모든 담보 유형이 증가세를 보였다.
대출채권 담보 관련 신용위험액은 담보에 대해 미래 발생가능한 신용손실을 예측해 대출자산의 손실 가능성을 미리 회계적으로 반영한 금액이다.
이 금액의 증가는 담보대출을 한 차주들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카카오뱅크 역시 주거용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린 차주의 신용위험액은 지난해 3분기 말 12조2902억원으로 전분기 말 8조9470억원에 비해 늘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경기 악화와 부동산 시장 침체, 개인 소득 악화 등으로 담보대출 채무자들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며 "이는 모기지 보험 등 보험사들의 지급준비금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