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금통위 기준금리, 시장참여자 99%가 동결 예상"
금융투자협회는 9일 '2024년 8월 채권시장지표'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올해 7월 1일에서 7월 4일까지의 조사에서 종합 BMSI는 101.6으로 전달 103.4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한국과 미국의 양국 물가지수 안정세에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으나, 미국 대선과 주변국 환율 등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 8월 채권시장 심리는 전달 대비 보합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
기준금리 BMSI는 설문응답자 99%가 7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응답했고, 1%는 25%포인트 인하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물가오름세가 완연히 둔화하며 긴축완화 조건이 점차 충족되는 것으로 보이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발표 이후 연준의 금리인하 신중론이 재확인돼 7월 금통위에서 현재 금리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전망 BMSI는 112.0로 시장금리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달 112.0 대비 보합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준금리 인하시점이 임박했다는 기대감에 금리 하방압력은 여전한 가운데, 미국 대선 토론 이후 미 국채금리가 급등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돼 8월 금리하락 및 상승 응답자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9%가 금리하락에 응답해 전달 대비 4%포인트 상승했고, 금리상승 응답자 비율은 17%로 전달 대비 4%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물가 BMSI는 124.0로 물가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달 112.0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4%로 1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자, 물가 안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에 8월 물가하락 응답자가 전달 대비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27%가 물가하락에 응답해 전달 대비 15%포인트 상승했고, 물가보합 응답자 비율은 70%로 전달 대비 18%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BMSI는 108.0으로 환율 관련 채권시장 심리는 전달 107 .0 대비 보합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고용지표 둔화로 인한 달러약세 요인과 미 대선 불확실성으로 인한 달러강세 요인이 혼재해 8월 환율 보합 응답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보합 응답자 비율은 76%로 전달 대비 5%포인트 상승했고 응답자의 16%(전달 18%)가 환율 하락에, 응답자의 8%(전달 11%)가 환율 상승에 응답했다.
김현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