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PB는 유통업체 차별화 전략…기준 강제하면 경쟁·소비자 편익 위축"
"'커클랜드 없는 코스트코'·'노브랜드 없는 이마트' 상상 못해"
쿠팡이 "PB(자체브랜드)상품은 고물가 시대 유통업체의 중요한 차별화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13일 쿠팡이 PB 상품을 상단에 배치하고 임직원의 구매후기를 이용해 높은 별점을 부여했다며, 국내 유통 업계 사상 최대인 14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데 대한 반박이다.
쿠팡은 17일 낸 입장 자료에서 "우리나라 모든 온·오프라인 유통업체는 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높은 PB상품을 만들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며 "이는 고물가 시대 유통업체의 가장 중요한 차별화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소비자들이 '커클랜드 없는 코스트코'나 '노브랜드 없는 이마트'를 상상할 수 없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커클랜드와 노브랜드는 각각 코스트코와 이마트의 대표 PB다.
쿠팡은 이어 "모든 유통업체들은 이런 차별화 전략에 따라 각자의 PB상품을 우선적으로 추천 진열하고 있다"며 "오프라인 유통업체는 PB상품을 고객들 눈에 가장 잘보이는 골든존에 우선 진열하고, 온라인 유통업체도 PB상품을 우선적으로 추천하고 있다. 이것을 소비자들은 너무나 당연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소비자들은 PB상품이 우선 노출됐다고 무조건적으로 구매하지 않고 같은 온라인 쇼핑몰 내 다른 상품과의 비교는 물론 다른 온라인몰과 가격비교 사이트까지 검색하는 등 꼼꼼하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며 "쿠팡의 경우 PB상품의 매출 비중이 5%에 불과하다는 게 이를 입증한다"고 했다.
또 "유통업체는 고유의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여야 경쟁할 수 있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전략까지 일률적 기준을 따르라고 강제한다면 기업 간 경쟁은 위축되고 소비자 편익은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