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닥터둠' 루비니 "얕은 침체는 환상…스태그플레이션+채무위기"

"1970년대 오일쇼크 ,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심각한 상황"

2022-07-26     김신회 기자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 / 사진=EPA연합뉴스

'닥터둠'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얕은 경기침체'(shallow recession)에 대한 기대는 완전 '환상'(delusional)이라고 경고했다. 

루비니 교수는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에 출연해 미국에서 금리가 오르고 경제에 가해진 부채부담이 커지면서 미국 경제가 깊은 침체에 직면했다며 얕은 침체에 대한 기대는 환상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경기침체가 단기간에 얕게 끝날 것이라는 생각은 완전히 환상"이라며 "심각한 침체, 심각한 부채·금융위기가 있을 것이라는 이유는 많다"고 말했다. 

루비니 교수는 많은 이유 중에서 특히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으로 인해 기록적으로 높아진 부채비중을 언급했다. 특히 선진국의 부채부담이 높아져 하위 업종에서도 계속 그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는 부진한 성장과 높은 인플레이션이 합쳐진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면서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 때는 그나마 부채비중이 낮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용경색과 수요충격에 따른 저물가 혹은 물가하락이 이어지며 국가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었다고 덧붙였다. 

루비니 교수는 "공급이 스태그플레이션의 부정적 충격에 휩싸였고 부채비중은 기록적으로 높다"며 "최근 두 차례와 같은 과거 침체 동안 우리는 통화·재정 부양을 막대하게 키웠다. 이번에 우리가 겪을 침체는 통화긴축에 따른 것이고 재정은 부양할 여지가 없다"고 꼬집었다. 이번 침체는 전처럼 통화·재정부양정책으로 방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그는 "지금 우리는 스태그플레이션과 심각한 채무위기에 동시에 직면했다"며 "1970년대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심각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경제가 급격한 금리인상 여파로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특히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0년 넘게 만에 가장 가파르게 오른 물가를 잡기 위해 강도 높은 통화긴축 공세를 펼치면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물가회복 실패가 경기침체보다 더 큰 실수가 될 것이라며 통화긴축 의지를 재확인했다. 연준은 이번주 통화정책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기준금리를 지난달에 이어 0.75%포인트 추가 인상할 전망이다. 연준 위원들은 앞으로 몇 개월 동안 금리를 계속 올릴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김신회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