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위대한 녹색혁명의 시작...'공급망 정체' 리스크 지뢰밭
세계 경제가 팬데믹의 악몽에서 서서히 깨어나기 시작하면서 공급 부족부터 가격 급등이 거의 모든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대만산 반도체는 공급이 부족하고 프랑스식 아침식사 비용까지 부담스러워졌다.
특히 희토류 같은 공급부족은 한창 달아오른 친환경 붐을 꺼뜨릴 위협을 가할 수도 있다. 친환경 투자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지만, 공급 차질이 예상보다 심각해 친환경 산업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제전문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에서 지적했다.
◇위대한 에너지 전환과 공급 병목 시작
공급망 문제가 일시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봤다. 공급망 병목현상은 향후 수 년간의 세계경제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될 수 있다. 친환경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이제 겨우 시작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국 정부는 막대한 민간의 투자붐을 활용해 앞으로 10년 동안 생산력을 높이는 등을 통해 시장의 신호에 대응해야 한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조언했다. 그렇지 않으면 각국 정부가 약속한 '탄소중립'을 현실화할 수 없다.
과학자들과 사회운동가들은 수 십년째 기후변화 문제를 제기해왔지만, 정치인들이 대응 약속을 지킬 의지가 커진 것은 최근 들어서다. 세계 총생산(GDP)과 온실가스 배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들은 이제 탄소배출 중립을 목표로 대응에 나섰다.
각국 정부들의 의지에 독일 자동차메이커 폭스바겐, 미국 석유회사 엑손모빌처럼 화석연료 시대의 초대형 기업들은 투자계획도 바꿔야 한다.
친환경 업체들은 자본지출을 더욱 공격적으로 늘린다. 올해 자본지출을 풍력발전업체 오스테드는 30%, 전기차업체 테슬라는 62% 늘릴 계획이다. 올해 1분기에만 친환경 투자에만 1780억달러 자금이 유입됐다.
문제는 재원의 급격한 전환으로 갈등과 긴장이 유발된다는 점이다. 원자재 수요는 폭발하고 소수의 원자재개발 프로젝트만이 승인을 받기 때문에 쟁탈전이 심화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전기차와 전력망에 필요한 5대 광물 가격은 지난 한 해 동안 139% 뛰었다. 풍력터빈의 날개에 사용되는 '발사목'(balsa wood)를 확보하기 위해 벌목 '마피아'들이 에콰도르 열대우림을 돌아 다닌다. 또, 지난 2월 영국에서는 풍력발전을 위한 해안가 소유권이 경매에서 120억달러까지 치솟았다.
공급부족은 금융시장까지 번졌다. 소수의 친환경 에너지 업체들로 막대한 돈이 몰려 들면서 이 업체들의 밸류에이션(가치)은 거품 영역에 진입했다.
◇규제완화, 탄소배출 가격 도입 급선무
더 놀라운 점은 에너지 전환이 이제 겨우 10%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 같은 과열이 현실화했다는 것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탄소중립 목표를 이루려면 2030년까지 전기차의 연간 생산은 지난해의 10배, 전기충전소는 지난해의 31배에 달해야 한다. 재생가능한 발전소는 3배 늘어냐 한다. 이를 위 전세계 광물 채굴업체들은 핵심 원자재의 연간 생산을 500% 늘려야 한다. 미국 대륙의 2%가 터빈과 태양광 패널로 뒤덮여질 수도 있다.
이를 현실화하려면 더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앞으로 10년 동안 35조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오늘날 글로벌 자산운용의 1/3에 해당하는 규모다. 결국 친환경 투자 성공은 1990년대 이후 전세계를 혁명적으로 바꾼 국경간 공급망과 자본시장에 달렸다.
하지만 이러한 민간투자는 일부 선진국과 중국에 국한됐다. 친환경 개발은 시간이 소요되고 위험이 있지만 그 효과과 경제적 이익은 여전히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결국 각국 정부들이 민간투자를 더 촉발할 촉매제를 제공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아야한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제언했다.
이를 위해 이코노미스트는 정부들은 규제완화와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전세계에서 광물채굴 프로젝트가 승인을 받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평균 16년에 달한다. 미국에서도 풍력발전 프로젝트가 토지 임대와 허가를 받는 데만 10년이 넘게 걸렸다. 의사결정에 있어 속도는 중요한데, 규제로 시간이 걸리면 조급한 지역 주민과 보수적 정치인들의 실망과 불만은 쌓익 마련이다.
지원이라는 측면에서는 기업과 투자자가 위험을 감수할 만한 인센티브를 정부가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탄소배출 가격제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탄소배출 가격은 기업과 투자자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데에 좀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주기 때문이다. 현재 전세계에서 뿜어져 나오는 온실가스의 22%만이 가격이 매겨지고 있다.
친환경 산업의 병목현상은 마침내 탈탄소화가 이론에서 현실로 바뀌고 있다는 신호라고 볼 수 있다. 녹색혁명이 진짜 일어 나려면 이제 더 강력한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이코노미스트는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