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차이나]11년만에 소비자물가 하락...中디플레이션 전조?

돼지고기 가격 하락, 기저효과 영향…경기 회복세 지속 "내년 'U'자 반등 전망"

2020-12-11     김근정 기자
[사진=EPA·연합뉴스]

중국 경제에 디플레이션 경고등이 켜졌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변동률이 11년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지난 2월부터 줄곧 전년동기대비 하락세다. 생산자물가에 이어 소비자물가까지 마이너스로 돌아서자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본격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번졌다. 디플레이션은 일본 장기불황의 주요 배경 가운데 하나다.  

다만 중국 내부에서는 경제가 정상 궤도를 되찾음에 따라 물가도 다시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9일 11월 CPI가 전년동기대비 0.5%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에서 CPI가 하락한 건 11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 시장의 우려가 증폭됐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2009년 2~10월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디플레이션을 겪은 것과 달리 이번에는 돼지고기 가격 급락과 높은 기저효과에 따른 단기적인 현상일 뿐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식품가격 상승이 중국 전체 CPI 상승을 주도해왔으나 올 1월 춘제(음력설)부터 상승세가 꺾이기 시작했다. 하반기부터 CPI를 하락세로 끌어내릴 것이라는 건 이미 예상된 일이었다.

중국 CPI에서 3분의 1정도를 차지하는 식품가격은 10월 2.2% 상승에서 11월 2.0% 하락으로 급격한 변동성을 보였다. 특히 돼지고기 가격이 전년동기대비 12.5% 급락해 낙폭을 지난달보다 무려 9.7%포인트 확대했다.

지난해 하반기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유행하면서 중국 사육 돼지 수가 급감했고 이에 따라 돼지고기 가격이 폭등, CPI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후 ASF가 잦아들고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하면서 최근 돼지 사육 농가 운영이 정상화하는 중이다. 최근의 하락세는 오히려 돼지고기 가격이 안정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분석이다. 

[자료=중국 국가통계국]

◇디플레이션? "근거 부족해"

일각에서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중국 내부에서는 CPI 하락 배경 등을 언급하며 이를 디플레이션 조짐이라고 주장할 근거가 부족하다는 데 의견이 모이는 분위기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가 전년동기대비 0.5% 올라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것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유효수요가 여전히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증거로 언급됐다.

무엇보다 경기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PPI가 개선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기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PPI가 오랫동안 하락세를 지속한 것이 디플레이션 공포를 부추겼지만 사실 이는 코로나19의 영향일 뿐이라는 것. 최근 낙폭을 줄이며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이 진짜 흐름이라는 얘기다.

실제로 11월 중국 PPI는 전년동기대비 1.5% 하락했지만 낙폭을 전달의 2.1%와 비교해 크게 줄였을 뿐 아니라 전월대비로는 0.5% 상승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CPI가 다음 분기까지 하락세를 지속할 수는 있으나 곧 정상궤도를 되찾을 것이며 PPI는 기저효과를 바탕으로 내년 1분기에 빠르게 상승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정허우청(鄭候成) 영대(英大)증권연구소 소장은 내년 중국 CPI가 'U'자 반등에 성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백신이 대량으로 출시되면서 내년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가 높은 수준을 보이고, CPI 변동폭도 '전저후고(前低後高)' 양상을 보이리라는 전망이다. 또, 국제유가와 구리 등을 포함한 비철금속 가격이 상승하고 기저효과가 더해져 내년 상반기 PPI도 안정적인 상승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통화정책 영향 제한적"

CPI, PPI가 동반 하락세를 보였으나 중국 통화정책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중국 내부에서 이를 단기적 현상으로 보고 있고 경기 회복세가 여전하다고 판단하는 만큼 갑자스러운 기준금리 인하 등의 정책 '급변동'은 없으리라는 게 시장의 지배적인 의견이다.

중국 통화 당국은 올 들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 하강압력이 급증하자 '중립'을 유지하되 다소 완화로 기운 통화정책을 구사해왔다. 하지만 최근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짐에 따라 완화 조치의 퇴출을 통해 정책 정상화를 모색하는 상황이다.

중국의 한 증권사 관계자는 앞으로 수개월간 CPI가 마이너스를 지속해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를 다소 늦출 수는 있으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그는 "인민은행이 단기간에 금리를 인하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내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5% 이상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대대적 통화완화에 나설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원빈 민생은행 소속 연구원은 "연말연시 자금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인민은행이 계속 공개시장조작 역량을 확대할 전망"이라며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조합을 통해 합리적이고 충분한 시장 유동성을 유지하고 시장금리가 경제 기초여건에 맞게 움직이도록 유도할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