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메랑 된 정규직 전환' 홈플러스 노조, 임금 18.5% 인상안 요구
1만4000여명 정규직 전환했지만 곧장 큰 폭 인상안 내밀어 실적 악화 홈플러스 부담 커져, 임일순 상생 행보 차질 빚나
홈플러스 노동조합이 최처시급 1만원에 맞춰 임금 18.5% 인상안을 사측에 제시했다. e커머스 강세, 각종 규제와 급격한 인건비 상승 부담을 안고 있는 홈플러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노사는 지난달 29일 2020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상견례를 갖고 14일 1차 본 교섭에 돌입한다. 홈플러스 2개 노조 중 주식회사 소속 노조인 홈플러스지부는 주재현 위원장이 대표 교섭위원으로, 사측은 황정희 홈플러스 인사부문장이 참석한다.
이번 임단협은 홈플러스 직원들의 정규직 전환 이후 첫 교섭이다. 앞서 홈플러스는 지난 7월 1일부로 무기계약직 사원 1만4283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대부분이 정규직으로 전환한 노조는 2020년 임단협 주요 요구안으로 임금 18.5% 인상과 상여금 확대, 호봉제 도입 등을 제시했다.
임금의 경우 기존 선임 기본급 176만5000원에서 209만원으로 18.5% 인상해 달라는 요구다. 근로자 법정 월 근로시간인 209시간으로 계산해 시간당 1만원의 시급을 책정했다.
본 교섭에 들어가기 전이지만 홈플러스 사측은 임일순 대표 부임 이후 최근 몇 년간 임금이 큰 폭으로 늘어난 데다 업황도 좋지 않아 노조 요구안을 그대로 받아주기 힘든 상황이다.
홈플러스 실적도 좋지 않다. 홈플러스는 2018년 회계연도(2018년 3월~2019년 2월)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091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57.6% 감소했다. 가파른 최저임금 인상과 점포 임차료 상승, 매출 하락이 주요 원인이다.
업계 관계자는 “임일순 대표 취임 이후 정규직 전환 등 적극적 상생 행보를 보였지만 노조의 요구에 부담이 커진 상황”이라며 “실적 악화 속 임단협 타결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