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오!차이나]中 1인당 GDP 20년새 10배 '1만달러 시대'...빈부격차 해소는 과제
중국이 1인당 국내총생산(GDP) 1만달러 시대에 진입했다.
GDP라는 총량을 기준으로 이미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올라선 중국은 1인당 GDP 1만달러라는 상징적인 목표 달성을 자축하면서 중국공산당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명분으로 삼으려는 분위기다.
하지만 중국 내부에서도 상당한 수준의 경제 발전을 이룩한 이제는 심각한 빈부 격차 해소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할 때라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아직 중국 정부의 공식 발표가 나오지 않았지만 2019년 중국의 1인당 GDP는 1만달러를 넘어선 것이 확실시된다.
앞서 중국 국가통계국은 작년 7월 2018년 중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9732달러를 기록해 1만달러 선에 바짝 근접했다고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작년 1∼3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6.2%를 기록했다. 국제 금융기구와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작년 한 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6.1%가량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 중국의 역사를 돌아봤을 때 1인당 GDP 1만달러의 관문 돌파는 중국인들에게 매우 고무적인 성취라고 말할 수 있다.
중국인들이 '신중국'이라고 부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1978년 개혁개방에 나서기 전까지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가난한 나라였다.
개혁개방 이후 고속 경제성장을 거듭했지만 2000년에 이르러서도 중국의 1인당 GDP는 1000달러에 채 미치지 못했는데 근 20년 만에 1인당 국민소득이 10배로 늘어난 것이다.
세계은행(WB)은 1인당 GDP가 1만2375달러 이상인 국가를 '고소득 국가'(high-income countries)로 분류한다. 이런 점에서 1978년 개혁개방이 본격화한 이후 40여년간 중국이 이뤄낸 성취는 괄목할 만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결과는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뜻하는 '중국몽'(中國夢)을 집정 구호로 내세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국내 지도력을 공고히 하는 데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중국공산당은 장기 국가 목표로 '두 개의 100년'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하나는 창당 100주년이 되는 2021년까지 '전면적인 샤오캉(小康·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를 만드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49년까지 부강하고 현대화된 국가를 건설하는 것이다.
1인당 GDP 1만달러 돌파는 시 주석이 2021년 역사적인 임무를 완수했음을 선언하는 대표적인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SCMP는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전쟁 속에서도 1인당 GDP를 1만달러로 늘리는 결정적인 장애물을 돌파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평균이 주는 착시에 빠져 환호하지 말고 빈부 격차 해소, 국민의 실질 구매력 확대, 산업 구조 선진화 등 내실을 다져야 할 때라는 중국 전문가들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게 분출하고 있다.
특히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역설적으로 매우 심각한 빈부 격차 문제는 중국공산당 일당 통치의 명분을 약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공산당이 직면할 최대 도전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타이(中泰)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리쉰레이(李迅雷)는 중국증권보에 "GDP 고속 성장만을 추구할 필요는 없다"며 "소득 구조를 개선하고 내수를 확대하는 한편 기술을 업그레이드함으로써 중진국의 함정을 피해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국가는 부자인데 개인은 가난하다'는 불만을 표출했던 일반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나라의 발전만큼 자신의 삶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작년 7월 자국의 1인당 GDP가 1만달러에 근접했다고 발표하자 인터넷에서는 자신의 삶과 동떨어진 얘기라고 자조하는 누리꾼들의 글들이 봇물 터진 듯 쏟아졌다.
실제로 높은 부동산 가격 등의 요인으로 중국의 2018년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만8228위안(약 4000달러)에 그쳤다. 이는 미국(5만203달러), 멕시코(1만6310달러) 등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