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에…열 중 일곱은 '언택트 소비' 늘렸다

2020-04-09     이명헌 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접촉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면서 비대면 형태로 소비하는 '언택트 소비'가 강해지고 있다.

9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은 성인남녀 32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1.1%가 최근 언택트 소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성별로는 여성이 76.5%로 남성보다 12.4%포인트 높았다.

언택트 소비가 증가한 요인으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외출을 줄여서'(71.6%, 복수 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소비할 수 있어서'(47.7%), '결제가 편리해서'(40.5%), '직원 및 판매원과의 접촉이 부담스러워서'(32.9%), '대기하지 않고 구매할 수 있어서'(28.9%), '키오스크로 주문받는 가게가 늘어서'(15.6%) 순이었다.

언택트 소비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0%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하는 언택트 소비로는 '온라인 쇼핑’(90.3%, 복수 응답)'을 들었다. 다음으로 '모바일 선물하기'(39%), '매장 내 모바일 앱 원격 주문'(26.1%), '온라인 계좌 개설 등 금융권 비대면 거래'(22.7%), '세탁 서비스 등 비대면 배달 서비스'(22.1%), '주유소 셀프 주유'(20.5%), '키오스크 구매'(18.4%), '드라이브스루'(14.9%)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69.8%는 콘택트보다 언택트 소비를 더 선호한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가 73.7%로 선호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30대(69.5%), 40대(67.1%), 50대 이상(61.7%) 순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언택트 소비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택트 소비보다 콘택트 소비를 선호하는 응답자는 그 이유로 '물건을 직접 보고 구매하고 싶어서'(62.2%, 복수 응답),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해 문의할 수 없어서'(44.4%), '직원에게 더 나은 제품을 추천 받을 수 있어서'(20.6%), '사람과의 소통을 좋아해서'(20.5%) 등을 선택했다.

한편,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9명(92.7%)은 앞으로도 계속 언택트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해 '그렇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