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만이의 들배지기]금융권 인사 '복마전' 관행 되풀이할 건가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11일 취임식에서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라는 고사성어를 언급했다. 참외밭에서 신발 끈을 매지 말라는 의미다.
최근 하나금융지주가 '최순실 게이트' 관련 불법대출 의혹으로 금감원 조사를 받는 것과 관련해 기자들이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자 최 원장이 이에 답하는 과정에서 튀어나왔다. 과거 최 원장이 하나금융 사장을 지낸 인연으로 봐주기 조사가 이뤄질 것이라는 우려를 사전에 차단한 것이다. 그는 "철두철미하게 조사하겠다"고 다시 한번 못박았다.
사실 이같은 우려는 최 원장이 하나금융을 떠난 2014년 상황을 복기하면 기우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2012년 하나금융 사장으로 취임한 최 원장은 2014년 조직 내 사장직이 폐지되면서 옷을 벗었다.
당시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김승유 전 회장 체제의 그림자를 걷어내는 작업에 나섰는데 그 과정에서 최 원장과 윤용로 전 외환은행장 등이 퇴사했다. 이후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로 자리를 옮겼다가 문재인 정부 들어 금감원장으로 영전했다. 금융권에서는 최 원장과 김정태 회장이 소원한 관계라는 얘기가 돈다.
최 원장이 금감원장 자리에 앉는 데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게 중론이다. 두 사람은 경기고 동문으로 최 원장이 한 기수 위다. 여기에 김승유 전 회장까지 세 명이 절친한 관계로 알려져 있다.
하나금융은 국정농단에 연루됐다는 의심과 정권 실세를 등에 업은 금융감독당국 수장의 삐딱한 시선을 동시에 감내해야 할 처지가 됐다.
최 원장 인선에 대해 문재인 정부의 금융권 장악이 본격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 정부 경제·금융 분야의 컨트롤타워인 장하성 정책실장은 최종구 금융위원장에 이어 금감원장까지 자기 사람을 심는 데 성공했다.
하마평이 무성했던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은성수 수출입은행장은 결국 그 자리를 꿰찼다. 이 회장은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행정관을 지냈고 참여정부 때는 금융위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은 행장도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에서 근무했다.
금융당국과 주요 금융공기업 수장으로 현 정부 실세와 이래저래 연을 쌓은 인물들이 대거 낙점되는 낙하산 작전이 시작된 것이다.
이제 시선은 민간 영역으로 향한다. 71세 고령의 김지완 전 하나금융 부회장이 BNK금융 회장으로 추천됐다. 고(故) 노무현 대통령과 부산상고 동문이며 2012년 대선 때 문재인 캠프에서 경제고문 역할을 자임한 바 있다.
국내 최대 금융그룹 중 한 곳인 KB금융 회장 인선 과정에도 묘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지난 8일 윤종규 회장을 포함해 7명의 후보군을 추렸는데 베일에 싸인 3명의 외부 인사가 포함됐다. 사측은 그 면면을 공개하지 않았다.
내부에서 윤 회장의 대항마가 눈에 띄지 않는 가운데 현 정권과 학연·지연 등으로 묶인 전직 KB금융 인사들이 외부에서 도전장을 던졌다는 전언이다. 만약 '외부자'가 윤 회장을 누르는 결과가 나온다면 낙하산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
임기가 1년 반가량 남은 이광구 우리은행장도 뜬금없이 교체설에 시달리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동문인 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 '서금회' 출신이라는 게 그 배경이다. 이 행장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 한 우리은행의 금융지주사 전환은 불가할 것이라는 근거가 불투명한 풍문까지 떠돌고 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김승유 전 회장과 어윤대 전 KB금융 회장 등은 'MB맨'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금융계를 풍미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암약한 서금회도 배경이 확실했다.
문재인 정부 초기. 참여정부 인맥과 문 대통령과의 인연, 정권 실세와의 친분에 더해 적폐청산 대상이라는 변수까지 금융권 인사에 작용하는 모습이다. 오히려 더 다중적이고 복잡해졌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금융권도 '복마전' 인사에 휘말렸던 적폐가 촛불 민심으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인가. 변화의 조짐을 엿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