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조달 리스크·결제시장 재편 겹친 카드사…"레버리지 규제 합리화·AI 투자로 돌파해야"
여전채 금리 고착·수익성 악화 속 조달 다변화·자산운용 전환 필요성 집중 제기
"레버리지 한도를 한 배만 늘려도 약 54조원의 공급 여력이 생긴다. 미국·일본보다 보수적인 국내 규제를 합리화하면 카드사의 혁신·IT 투자, 스타트업 투자 등 생산적 금융 실행력이 커진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2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신용카드학회(KOCAS Conference 2025)에서 이같이 밝히고, "ABS, ESG 채권, 해외 신디케이트론 등 조달 다원화를 통해 비용 구조를 안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자본조달 비용이 안정돼야 카드사가 부동산 대신 혁신기업·디지털 인프라에 투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학회에서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 결제시장 재편, 조달 구조 압박 등 복합적 구조 변화 속에서 카드사들이 갖춰야 할 새로운 경영 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여전채 금리 고착과 조달비용 급증, 카드론 축소, 연체율 상승이 겹치며 카드업계의 수익성이 흔들리는 가운데 조달 다변화를 통해 비용구조를 안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지용 교수는 조달 구조와 자산운용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했다. 그는 "기준금리는 떨어지는데 여전채 금리는 오히려 올라 3%대를 유지하고 있다"며 "국고채 금리 상승, 신용등급 하향 압력, 정부의 대규모 적자 국채 발행 등으로 카드사의 조달비용이 구조적으로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여전채 의존도가 72%까지 치솟아 국내 회사채 시장에 과도하게 편중된 조달 구조가 가장 큰 리스크"라고 진단했다.
서 교수는 조달비용 상승이 카드사의 위험자산 투자 확대로 이어지는 악순환도 경고했다. 그는 "수익 확보를 위해 카드사들이 부동산 PF와 브리지론에 무리하게 투자해왔지만 이는 다시 건전성 악화로 돌아오는 구조"라며 "생산적 금융 관점에서 자산운용 방향을 완전히 바꿔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발표에 나선 윤종문 여신금융연구소 팀장은 카드산업이 맞닥뜨린 구조적 위기를 디지털화 관점에서 설명했다. 윤 팀장은 "고객 접점이 오프라인에서 모바일·온라인으로 완전히 이동했다"며 "결제 주도권도 카드사 중심에서 간편지급·핀테크 중심으로 넘어가고 있는 만큼 AI와 데이터 활용 역량이 생존의 핵심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간편지급 서비스 내 신용카드 비중 감소와 핀테크 사업자 비중 확대를 지목하며 "카드사가 더 이상 전통적 결제 사업자만으로는 경쟁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윤 팀장은 디지털 결제 환경의 변화가 협상력 약화로 직결되는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급 결제에서 카드사의 역할이 축소되면 결국 산업 전체 수익구조가 흔들린다"며 "AI 기반 개인화 서비스, 비접촉식 결제, 오토 결제 등 기술 투자를 선제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비자·마스터카드처럼 B2B·국경간 결제, 데이터 사업, AI 에이전트 결제 등 새로운 지급 흐름을 확장하는 것이 카드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라고 덧붙였다.
최연성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