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E&A, 대한항공과 SAF 협력…美 시장 진출 속도
삼성E&A 기술력과 대한항공 구매력으로 시너지 기대
삼성E&A가 대한항공과 미국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
삼성E&A는 지난 20일 대한항공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검토 △SAF 장기구매 참여 검토와 상호 지원 △SAF 관련 신기술·프로젝트 투자 검토 △대한항공의 삼성E&A 'SAF 기술 동맹' 파트너 참여 등을 골자로 한다. 양 사가 보유한 전문성·네트워크를 활용해 안정적인 SAF 생산·공급망을 구축하는 한편 관련 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데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첫 번째 협력 대상지로 미국 시장을 주목하고 현지 프로젝트 참여 방안을 본격 검토할 예정이다. 미국은 SAF 생산에 필요한 원료가 풍부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SAF 생산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양 사는 SAF 생산의 처음과 끝을 담당하는 주요한 역할을 맡게 된다. 삼성E&A는 플랜트 수행 기술력을 제공하고 대한항공은 안정적인 SAF 수요처 역할로 프로젝트 전반에 탄력을 주는 '윈-윈' 모델이다.
삼성E&A는 EPC(설계·조달·시공)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현지 추진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다. 목질계 폐기물을 고온에서 가스화 한 후 다시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가스화-피셔-트롭시(FT)' 기반 2세대 SAF 생산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 기술은 1세대 SAF의 한계를 넘어 폐목재와 같은 비식용, 폐기성 바이오매스까지 원료 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탄소감축 효과도 커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대한항공은 이곳에서 생산된 SAF를 구매하는 오프테이커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오프테이커는 일정 기간 동안의 생산량을 고정적으로 사들여 신규 에너지 사업 기반을 안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삼성E&A 관계자는 "SAF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오프테이커인 대한항공과 함께 참여해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 발주처 신뢰를 얻어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이라며 "앞으로 에너지 전환 분야 신사업 참여를 확대해 중장기 지속성장의 동력으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김근정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