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글로벌 거래소' 한국 진출 '맞대응'…업비트·빗썸 '전략적 연합' 가능할까
'글로벌 오더북 통합'과 '국내 규제 체계' 출동 가능성 상장·보안·공시 기준 마련해 '공동 연대' 필요성 대두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의 한국 진출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1, 2위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이 '전략적 협력' 가능성이 주목되고 있다.
글로벌 1위 바이낸스가 국내 5위 거래소 고팍스 인수를 통해 한국 시장 진출을 준비중이며, 중국계 거래소 바이비트(Bybit)도 코빗 인수를 검토 중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글로벌 주요 거래소들이 한국 시장에 잇달아 관심을 보이며 '한국 공습'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거래소의 국내 진출이 단순 경쟁을 넘어 '글로벌 오더북'과 '국내 규제 체계'의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는 한편, 업비트와 빗썸이 전략적 연합을 구축할 것인지도 관전 포인트로 부각되는 분위기다.
◇해외 거래소 '글로벌 오더북' 통합 방식 진출
최근 글로벌 거래소들의 한국시장 진출 방식은 단순 마케팅이나 파트너십 차원을 넘어 '글로벌 오더북의 직접 연결'로 진화하고 있다. 문제는 국내 자금이 해외 오더북로 흘러가는 구조가 만들어져 △자금세탁방지(AML) △외국환거래법 △실명계좌 제도와 직접 충돌할 수 있다.
만약 글로벌 오더북 공유가 현실화될 경우, 해외 거래소로 국내 자본이 이동이기 때문에 금융당국의 외환 관리 체계와 충돌하며 글로벌 거래소가 국내 법인을 세웠더라도 외환 유출로 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거래소 진출에 대한 규제 검토가 강화될 전망이다.
업비트와 빗썸은 경쟁 관계지만, 글로벌 거래소의 한국 진출시 국내 규제 체계의 공백을 막기 위해 '기술·규제 측면의 전략적 연합' 필요성 논의가 부각되고 있다.
◇국내시장 안정성·투명성 확보를 위한 규제 협력 가능성
업계에서는 업비트와 빗썸의 협력이 현실화될 경우 크게 세 가지로 형태로 전망하고 있다.
첫째, 코인의 상장·공시 기준 공동 마련이다. 현재 거래소별 기준이 달라 프로젝트별 진입 장벽과 투자자 보호 장치가 상이하다. 글로벌 거래소들은 오더북 공유를 기반으로 한 상장 방식으로 진출할 경우 국내 프로젝트의 검증 체계가 무너질 수 있다. 이에 국내 거래소 간 통합된 상장·공시 기준을 통해 투명성을 강화할 필요가 강조된다. 두 거래소가 공동 심사위원회나 공시 검증 체계를 도입할 해 '규제 준수 우위'를 갖출 수 있다.
둘째, 정보보안 가이드라인 통합이다. 글로벌 해킹 수법이 정교해지면서 국내 거래소들은 API·메신저 피싱·서드파티 연동 공격에 더 취약해지고 있다. 두 거래소가 공동 보안 규범을 정립할 경우, 글로벌 거래소 대비 안전성과 신뢰도가 강화돼 '한국형 보안 표준'이 만들어질 수 있다.
셋째, 한국만의 규제 준수 프레임 설립이다. 오더북 공유가 현실화되면 자금세탁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국내 거래소들은 FATF 규제, 트래블룰, KYC·AML 기준을 공동으로 운영해 글로벌 사업자와 차별화된 '안전 규제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실제 해외 거래소가 한국 진출시 AML 체계를 국내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글로벌 거래소의 한국 진출은 국내 규제 체계 전체에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으로 업비트와 빗썸이 규제 준수 기준을 통합하는 방식의 '전략적 연대'를 검토할 수 있는 시점이 왔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시장 안정성과 규제 대응을 위해 일정 수준의 협력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업비트의 점유율이 지나치게 높아 실질적으로 '독주 체제'에 가깝다"며 "빗썸은 지배구조 문제와 대주주 이슈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 두 회사가 대등한 파트너십을 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장세진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