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서비스학회서 '디지털뱅크 혁신 사례' 발표

박준하 토스뱅크 최고기술책임자(CTO)가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된 IT 서비스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에 연사로 나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 사진=토스뱅크
박준하 토스뱅크 최고기술책임자(CTO)가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된 IT 서비스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에 연사로 나서 주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 사진=토스뱅크

"현재 대부분 은행이 거의 20~30년 전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지만 IT 서비스 기반의 회사는 그렇지 않다. 토스뱅크가 기존 은행과 다른 이유다."

박준하 토스뱅크 CTO는 1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IT 서비스 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에서 토스뱅크가 고객에게 뱅킹 서비스를 끊김없이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시스템을 어떻게 애자일하게 변화시켜왔는지 설명하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박 CTO는 IT 서비스 아키텍처 변화와 은행 시스템 혁신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토스뱅크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라고 불리는 MSA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권이 갖추고 있는 모놀리틱 시스템과 달리 서비스별로 쪼개지는 구조다. 이를 통해 토스뱅크 여신·수신·카드 서비스는 서버와 데이터베이스가 분리되고 시스템의 직접적인 참조 대신 HTTP API 등의 통신을 통해서만 참조를 진행한다.

박 CTO는 "기존 모놀리틱 시스템에 비해 매우 슬림해진 구조"라며 "쪼개지는 서비스가 많아졌지만 리소스 낭비 등의 문제는 기술 발전으로 대부분 해결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가상화 기술 발전으로 물리적 리소스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돼 서비스를 쪼개는 과정이 낭비로 이어지지 않게 됐다는 것이다.

기존 금융권이 제기하는 각 모듈 간 정보공유 단절, 네트워크 간 빈번한 호출에 따른 레이턴시 영향 극대화 문제 등도 상당 부분 해결했다. 동시에 유연한 변경과 새로운 서비스 배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더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한다.

토스뱅크가 기존 은행과 가장 큰 차이점은 채널계가 전달자 역할에 그치지 않고 수행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모놀리틱 시스템인 계정계가 더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테스트 자동화, 서비스 배포 시점 문제 인지 및 빠른 롤백 등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박 CTO는 "토스뱅크도 계정계는 은행 서비스를 빠르게 구축하는 과정에서 아직은 과도기적으로 기존 금융사의 것을 유지하고 있지만 점차 토스뱅크만의 모습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현재 추가되는 서비스는 채널계 서버에 반영해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기존 은행서비스는 텔러 중심의 서비스다 보니 시스템의 구조 또한 고착화 될 수밖에 없었지만 IT 서비스 회사는 고객과의 접점 속에 많은 발전을 이뤘고 은행서비스도 고객에게 매우 밀접한 서비스로 커가기 위해 IT 서비스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스뱅크가 그 혁신을 계속 이끌고 시장에 적극적으로 공유해가겠다고도 덧붙였다.

다음 연사로 나선 민재슬 토스뱅크 개인여신 스쿼드 서버개발자는 토스뱅크의 완전히 새로운 대출시스템을 주제로 발표했다. 민 개발자는 토스뱅크가 내재화한 시스템,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과의 연계를 새롭게 디자인한 측면을 강조했다.

특히 대출 심사 과정에서 관계 기관들이 트래픽양을 감당하지 못해 마비되는 문제를 소개하면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민 개발자는 "사용자수가 갑자기 증가해 대외기관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 양보다 많은 요청을 동시에 보내면 결국 상대 기관이 마비될 수밖에 없다"며 "토스뱅크는 대외 기관이 견딜 수 있는 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유량 제어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말했다.

갑자기 많은 사용자가 토스뱅크에 진입해도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대출심사를 받을 수 있게 시스템을 설계한 것이다.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기 위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MYSQL, 이벤트 처리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로는 KAFKA, 유량제어와 캐시 처리를 위해서 REDIS가 쓰였다.

민 개발자는 "올해 1월 토스뱅크 대출 재개와 함께 많은 고객이 몰리면서 유량 제어시스템이 가동됐다"며 "대외 기관과의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놓은 덕분에 토스뱅크의 트래픽이 대외기관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었고 많은 고객이 원하는 대출 실행 결과를 받아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토스뱅크의 모든 시스템이 가동돼 유연하게 상황에 대처한 것이 문제 해결로 이어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은행시스템과 달리 토스뱅크 여신시스템은 구축 초기부터 변화에 빠르고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축됐다. 대출이 실행되기까지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고 각 비즈니스 로직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코어뱅킹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덕분이다.

전보규 기자 / 경제를 읽는 맑은 창 - 비즈니스플러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