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사진:연합뉴스

"취업할 때 최고의 인재가 들어가서 가장 바보가 되는 곳이 산업은행입니다."

지금으로부터 10여년 전 금융권을 기웃거리기 시작할 때 들었던 말입니다. 당시 금융 문외한을 하루빨리 벗어나고 싶어 여러 관계자와 전문가를 찾아다니면서 많은 얘기를 들었는데 워낙 간결하고 명확하게 규정한 말이라 아직도 기억에 또렷하게 남아 있습니다.

산업은행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조롱이 섞인 말은 늘 상식과 다르고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으로 언론과 여론의 질타를 받으면서도 거의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지에 대한 물음의 답이었습니다.

바보란 평가 뒤에는 권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산업은행의 상황과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특수성에 대한 설명이 따라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엘리트로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는 꿈과 의지는 사라지고 '까라면 까' 문화에 익숙해지다 보니 '돈 잘 버는 바보'에 만족하는 상황이 된다는 해설도 있었습니다.

물론 산업은행 구성원 개개인으로 보면 정책금융기관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해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과 고충을 알고 있습니다. 옆에서 충분히 노고를 지켜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산업은행이란 조직 전체를 놓고 보면 10여년 전의 바보란 평가가 왜곡됐다거나 틀렸다고 하기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최근 많이 나아졌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STX조선과 대우조선해양 사태처럼 전문가적 판단이나 결단이 실종된 것으로 보이는 일이 여전히 뇌리에 강하게 남아 있고 지금도 이 당시와 크게 달라졌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서입니다.

외부인력 수혈을 두고 내부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는 얘기도 바보란 평가가 유효하다는 방증입니다.

관련 업무와 무관하거나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특혜 채용을 하겠다는 것도 아닌데 본인들이 올라갈 자리가 줄어든다고 볼멘소리를 한다니 달리 생각할 방법이 없습니다. 게다가 지금까지 외부에서 들어온 사람은 전체의 1%도 안 됩니다.

산업은행은 시중은행과 달리 정책, 사회적 상황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늘 난제에 시달릴 수밖에 없는 운명입니다. 그동안도 그랬고 앞으로도 그렇습니다.

이런 점이 구성원들의 노고에도 불구하고 호평보다 혹평이 쏟아지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산업은행이 변명하기 어려운 실책을 반복한 것도 사실입니다. 실책을 거듭하지 않고 호평을 듣게 되는 그날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조직 문화의 쇄신과 경쟁력 제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산업은행의 수장인 이동걸 회장이 외부 전문가 영입에 나서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외부 인재 수혈이 산업은행에 대한 일반의 인식을 탈바꿈하는 계기가 되길 누구보다 바랍니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