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7월 금리인하 전망에 금리인하 효과 회의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차고 넘친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의 금리인하가 미·중 무역전쟁, 중국의 성장둔화 등에서 비롯된 세계 경제의 침체 우려를 불식시켜줄 수 있다는 것인데, 금리인하 효과를 불신하는 회의론도 만만치 않다.

당장 미국의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는 현재 2.25~2.50%로 역사적 수준으로 낮다. 금융정보업체 트레이딩이코노믹스에 따르면 1971~2019년 미국 기준금리 평균치는 5.67%다. 1980년 3월에는 사상 최고인 20%까지 올랐다. 글로벌 금융위기 전 부동산 거품이 절정에 달했을 때도 5%가 넘었다. 지금 수준에서는 연준의 금리인하 여지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금리인하 효과가 무뎌진 지 오래라는 지적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수십년간 일어난 경제구조 변화로 인해 정책금리 조정의 영향력이 약해졌다고 진단했다. 

또 주택시장 거품 붕괴와 금융위기가 남긴 상처가 금리인하에 대한 반응을 무뎌지게 했다고 지적했다. 그도 그럴 게 연준은 부동산시장 붕괴, 뒤따른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제로(0)로 낮췄다. 제로금리 기조는 2008년 말부터 2015년 말까지 무려 6년간 이어졌다.

연준은 1990~91년, 2001년 일어난 경기침체 때도 급격한 금리인하로 대응했지만, 경기회복은 길고 힘든 과정이었다. 경기회복 속도가 1990년대 이전에 비해 훨씬 둔해진 것이다.

미국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은 금리에 민감한 산업 부문의 비중이 축소된 탓이라고 분석했다. 건설, 제조업 등은 금리가 낮아지면 고용을 대거 늘리게 마련인데, 미국 전체 산업에서 이들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쪼그라들었다는 것이다. 

1980년대엔 25%쯤 됐지만, 1990~91년 경기침체 때는 21%, 2001년 침체 직전에는 18%로 낮아졌다. 금융위기가 촉발한 대침체(Great Recession) 때는 15%, 최근에는 13%까지 떨어졌다.

다른 요인도 거론된다. 주택시장 흐름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불황기에 급감한 주택판매가 경기회복세와 맞물려 두드러진 증가세로 돌아섰다. 

미국의 최근 주택 판매는 인구가 더 적었던 1990년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 경기침체기 수준에 불과하다. 미국인의 주택 소유 비율도 전보다 낮아졌다.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재융자 수요도 전만 못하다.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의 모기지를 안고 있던 이들이 금리가 더 낮은 상품으로 갈아타기 마련인데, 미국의 많은 주택 소유자들은 이미 금융위기 이후 이어진 초저금리의 수혜를 봤다.

아울러 금융위기는 빚을 내 소비하던 미국인들의 체질을 바꿔 놓았다. 대침체 이전에 비해 훨씬 높아진 저축률이 이를 방증한다. 

WSJ는 미국인들이 앞으로 10년이 더 지나도 대침체의 악몽을 선명하게 기억할 것이라며, 이들은 더 이상 낮은 금리에 열광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경제를 진짜 다시 돌게 하려면 금리인하 이상의 조치가 필요할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19일(현지시간) 끝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에 보다 강력한 금리인하 신호를 발신한 뒤 7월에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금리선물시장에서는 이 가능성을 90% 가깝게 본다.

다만 골드만삭스를 비롯한 월가의 몇몇 대형은행들은 경기악화 징후가 아직 뚜렷하지 않다며, 연준이 다음달에 '보험성 금리인하'를 단행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관측한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