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프리픽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과 통화긴축 기조에 스스로 브레이크를 걸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19~20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며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중을 드러냈다.

2015년 12월부터 시작된 금리 인상 행보가 3년 만에 마무리 수순으로 접어들었다.

이와 함께 2년 간 지속된 '양적 긴축(QT)'도 오는 9월 종료하기로 했다. 미국은 보유 채권을 매각해 달러를 흡수하는 식으로 시중의 유동성을 축소해 왔다.

기준금리 인상과 양적 긴축에 따른 달러화 가치 상승의 영향으로 경색 국면에 빠졌던 글로벌 경제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소식을 접하고 안도하는 이들의 대열 속에 중국도 눈에 띈다.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는 데 유리해진 까닭이다.

우선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이 상당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달러 강세는 위안화 환율 상승을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무역전쟁 등으로 중국 경제 상황까지 악화하면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6.98위안 부근까지 치솟아 '포치(破七·달러당 7위안 붕괴)' 우려에 휩싸인 바 있다.

미국은 중국이 무역흑자 감소를 막기 위해 위안화 약세를 주도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위안화 환율의 안정적 관리'가 양국 무역협상의 주요 의제로 등장하게 된 배경이다.

미·중 간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지지 않고, 미국이 통화 긴축 정책을 중단하면 위안화 가치가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위안강밍 칭화대 중국세계연구센터 연구원은 "미국 연준이 금리 인상을 자제할 경우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이 해소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무역전쟁 휴전까지 이뤄진다면 금상첨화"라고 반겼다.

이와 함께 중국이 다양한 경기 부양책을 구사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올해 경기 하강 압력에 대응하기 위한 유동성 공급 확대를 천명했다. 기준금리 인하나 은행 지급준비율 인하 등으로 돈을 푸는 게 일반적인데, 미국이 긴축 기조를 유지한다면 이 같은 정책을 펴는 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달러 가치가 요지부동인 상황에서 중국만 유동성을 풀어 위안화 가치가 더 떨어지면 경기 부양 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이다.

더불어 양국 금리 및 환율 가치 격차가 벌어질수록 중국 내 외자의 해외 유출과 증시 불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미국 연준의 이번 조치가 경기 둔화를 의식한 것이라면 미·중 무역협상 과정에서 중국이 지렛대로 활용할 만하다. 무역전쟁이 중국은 물론 미국에도 타격을 주고 있다는 게 사실로 드러난 셈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중국과 유럽 경제가 상당히 둔화했는데, 글로벌 경제의 약한 성장은 미국에 역풍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현재 미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연준의 인식 차가 크다는 게 변수다.

재선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성과가 절실한 트럼프 대통령이 경기 둔화 우려 때문에 중국과 적당한 선에서 타협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