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https 차단을 우회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글들. /사진=구글 검색 결과 갈무리

최근 'Hyper 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 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이라는 생소한 전문용어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줄여서 https라 부르는 이 단어는 프로토콜, 즉 인터넷 통신 규약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url이라부르는 인터넷 주소의 일종인데,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모든 통신 내용을 암호화해 보안성이 높인 것이 특징이다. 

문제는 불법 도박이나 음란물 사이트들이 https를 이용해 정부의 유해 사이트 차단 정책을 피해왔다는 점이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는 SNI(Server Name Indication) 필드 차단이라는 기술을 도입해 불법 사이트 근절에 나섰다. https 사이트 접속 과정에서 정보들이 암호화되기 전 미리 차단하는 방식으로, 불법 사이트 접속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여론은 좋지 않다. https가 생긴 이유가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보안을 보호하는 목적인데, 정부가 이를 제재하면 결국 인터넷 여론 통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 것이다. 정부가 비판적인 사이트를 차단하거나, 사람들을 감청하는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우려되는 부작용에 비해 실효성이 작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SNI 기술을 사용해도 결국 불법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우회로가 뚫릴 수 있다는 얘기다. 이미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차단된 https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각종 방법이 올라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인 VPN과 ESNI다. VPN은 가상사설망으로 이를 이용하면 외국 IP로 위장해 불법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다만 속도가 느려지는 것은 단점이다. ESNI(Encrypted SNI)는 파이어폭스라는 브라우저에 탑재된 기술로, 국내 ISP(인터넷서비스공급자) 대신 다른 나라의 서버를 사용해 차단을 피하는 방법이다. 

러시아와 중국 등에서 개발된 DPI(Deep Packet Inspection)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SNI가 불법 사이트 판정을 위해 진행하는 패킷 검사 자체를 막는다.  

지난 11일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정부의 https 차단 방침에 대해 "인터넷 검열의 시초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다. 해당 청원은 게시 이틀 만에 11만명 이상의 지지를 얻었다. 

불법 사이트 차단은 필요하지만, 정부가 꼭 이 같은 논란을 일으켜야 했을까.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