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분쟁이 격화되기 시작한 이후 국내 증시와 달러 대비 원화 가치 흐름이 중국 증시 및 위안화 가치 흐름과 연동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이러한 시기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비난하면서 중국이 미국과 무역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위안화 절하 카드를 사용 중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은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오는 10월 발표되는 미국의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경쟁적인 관세율 인상전쟁을 넘어서 통화가치까지 경쟁적으로 떨어뜨리는 통화전쟁이 맞물릴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은 큰 혼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환율 흐름만을 놓고 보면 일견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설득력을 갖춘 듯 보인다. 하지만 그보다 조금 길게 올해 연초부터 금융시장을 되돌아보면 양상은 조금 다르다.

올해 4월 이후에는 미국과 미국 이외 주요지역간의 경기 모멘텀 차이와 그에 따른 국가간 금리 인상 강도 등 미국 통화정책의 차별화가 미국 vs. 이머징마켓 주식시장의 주가 디커플링과 함께 달러화의 상대적 강세 흐름을 초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보다 기간을 좀 더 길게 해서 지난 2017년 한해를 되짚어보면 지난해에는 글로벌 증시 동반 상승 기조 속에 달러화지수는 연간 우하향한 반면, 이머징마켓 통화지수는 우상향해 연간으로 약달러가 심화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기간을 어떻게 잡는가에 따라 각자의 해석은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이며, 미국의 속내는 중국 위안화 가치의 절상을 바라는 것이라고 해석된다. 이에 따라 주요 관건은 중국의 대응 방향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이 강대강 구도로 대응 방침을 정할 것인지 혹은 미국의 강경책에 한발 후퇴해 수입시장 개방 폭 확대 및 큰 폭의 위안화 절상을 무역협상 카드로 제시할 것인지가 향후 주요 관전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중국이 강대강 보복의 구도로 방침을 정한다면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 체력이 약한 중국의 경기 펀더멘탈과 금융시장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

뉴욕 연은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1년 내 경기 침체 확률은 아직 15% 미만으로 낮은 수준이다. 또한 미국은 경기 과열을 억제하기 위해 중안은행인 연준의 금리 인상 싸이클이 진행되고 있을 정도로 경기는 좋다.

반대로 중국은 경기 둔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책적인 부채 조정(Deleveraging)과 미중 무역분쟁이 맞물리고 있어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이다. 물론 시장 일각에서 제기되는 중국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 발생 우려는 아직 성급해 보인다. 미중간 무역전쟁 격화로 인해 실제 중국 경기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커질 경우에는 정부의 부채 억제 조치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는 탓이다.

또한 중국의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수년간 상승폭이 커진 반면 주요국의 GDP 대비 중국 정부의 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약 50% 내외로 정부 부채비율은 아직 상대적으로 낮은 정도다. 필요시 정책 당국의 시장 개입 등을 통해 통제가 가능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편, 국내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까지 수출 실적은 328억 달러로 1년 전 동기 대비 9.3% 증가를 기록했다. 7월 수출 실적은 G2 무역분쟁의 여파가 반영되는 첫 번째 경제지표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를 고려하면 미국과 중국간 1차 쌍방 관세 부과 영향은 아직 국내 수출 지표에 본격적인 악영향을 주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발표대로라면 2000억 달러 관세 부과가 9월 발효 시점부터 경기 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그 이전에 타협안 마련 여부가 주요 관건이 될 전망이다. 미국이 공을 중국으로 넘겨 놓은 상황인 만큼 향후 중국의 대응 방향이 중요한 시기일 것으로 관측된다.

유화증권 투자분석팀 김승한 팀장

저작권자 © 비즈니스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